인사말
Greetings
평교수님들과 함께 하는 교수조합이 되겠습니다.
서울대 교수조합은 2018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토대로 2020년 설립되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냈습니다. 특히 24년 7월, 전체 교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국내 최초의 대학 교수노동조합으로 자리매김하여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이로써 교수조합은 서울대 교수진의 공식 대표기구로서 법적인 지위를 확고히 하였으며, 교원의 근로조건 변경 시 반드시 조합과의 협의가 필요하도록 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우리의 비전은 명확합니다. 서울대학교를 국민의 신뢰와 존경을 받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위한 핵심 전제조건이 바로 교원의 처우 개선이라고 확신합니다. 교수조합은 임금 및 단체 협상을 통해 교수의 권익보호와 복지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어내고 있으며, 체계적인 정책연구와 세미나를 통해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대 교원의 처우 수준은 세계 유수대학의 기준에 미치지 못함은 물론, 국내 주요 사립대학과 비교해도 70~80%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입니다. 이는 우수 교원의 확보와 연구 몰입도 제고에 심각한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학문후속세대 양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학의 본질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교원 처우 개선이 최우선 과제임이 자명합니다.
교수조합은 단체협상과 상시적 소통 채널을 통해 교원의 근무환경 개선에도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대 교원은 일반 대기업 근로자가 누리고 있는 기본적 복리후생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법인화 이후 기대했던 처우개선은 미미한 수준에 그쳤으나, 이제 과반수 조합원 확보를 통해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우리는 대학의 재정·행정 시스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제안을 통해 대학본부와의 건설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교수조합은 사회적 책무를 깊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수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는 한편 공적 책임을 다하는 균형 잡힌 접근을 통해, 한국 대학사회의 새로운 노사관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교육과 연구 현장의 최일선에서 헌신하시는 교수님들이 마땅한 처우와 권익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4대 교수조합 위원장 임호준 드림
We shall become a faculty union working alongside our fellow professors.
Established in 2019 based on the 2018 Constitutional Court rul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Faculty Union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In July 2024, it set a new milestone by becoming the nation’s first university faculty labour union representing a majority of all professors.
Consequently, the faculty union has firmly established its legal status as the official representative body for Seoul National University’s faculty. It has also laid the institutional groundwork ensuring that any changes to faculty working conditions require mandatory agreement with the union.
Our vision is clear: to develop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o a world-class research-focused university that commands the trust and respect of the nation. We firmly believe that improving faculty welfare is the core prerequisite for achieving this. The faculty union is achieving tangible progress in protecting professors’ rights and enhancing welfare through wage and collective bargaining, while deriving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systematic policy research and seminars.
The stark reality is that the current level of treatment for Seoul National University faculty not only falls short of the standards of the world’s leading universities but also remains at only 70-80% of the level seen at major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This poses a serious obstacle to securing outstanding faculty and enhancing research immersion, while also negatively impacting the cultivat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It is self-evident that improving faculty treatment is the foremost priority for strengthening the university’s fundamental competitiveness.
The faculty union is also striving to improve faculty working conditions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and ongoing communication channels. Currently, Seoul National University faculty members do not even enjoy the basic welfare benefits afforded to employees of large corporations. While the improvements in conditions anticipated following corporatisation have been minimal, the foundation has now been laid to drive substantive change through securing a majority of union members.
We will build a constructiv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through rational and concrete proposals, grounded 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university’s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The faculty union deeply recognises its social responsibilities. We aim to present a new model for labour-management relations within Korean academia through a balanced approach that protects professors’ legitimate rights and interests while fulfilling our public responsibilities. We will do our utmost to ensure that professors, who dedicate themselves on the front lines of education and research, receive the appropriate treatment and rights they deserve.
The 4th President of SNU Faculty Union
Yim, Ho-Joon
